정보/약국, 병원 정보
우리약국엔 어떤 처방스케너가 좋을까
도깨비 보니조아
2009. 5. 25. 11:07
의협의 2D 바코드 사업자 선정 강행으로 대한약사회가 차선책인 스캐너를 지난 6월 중순에 첫 보급,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최근 비슷한 사양과 가격대로 한 민간 업체가 경쟁에 뛰어들어 처방전 스캐너 시장 확대가 예고되고 있다.
약학정보원(케이팜텍)과 민간업체(인포테크코리아) 스캐너는 각각 판매방식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제품 자체의 사양에 앞서 판매 또는 유치 방식에 대한 부분을 중요시 하고 있는 것이 약국가의 니즈이기 때문에 이 부분이 차후 시장 점유율의 판도를 가름할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우선 약학정보원에서 판매하는 기계는 임대약정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소유권이 판매업체인 K팜텍에 있음을 의미하며 동시에 약정 만료 시 장비를 회수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민간업체에서 판매하는 것은 할부약정 방식으로 할부 선납금을 지급하고 약정기간을 사용하면 약사에게 소유권이 자동 이전되기 때문에 약사들의 각자 취향에 맞게 우선순위를 정해, 선택해야 한다. 그 다음의 차이점은 연동 가능한 약국 프로그램이다. 약학정보원 제품의 경우 차후 점차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시판 초기인 지금까지는 PM2000만 구동이 가능하다. 반면 민간업체 기계의 경우 약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대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단, PM2000의 경우 간접연동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PM2000을 청구 프로그램 외의 기능만 사용하는 약국들, 즉 처방전 유입 수가 매우 높은 상당수의 약국들 또는 체인 가맹약국 일부 등의 스캐너 선택의 폭이 넓어졌음을 뜻한다.
약학정보원 제품은 하나이며 민간업소 제품은 세 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이는 임대보증금 및 선납금, 서비스요금, 분(分)당 속도 및 급지방식 등 세부 내용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분(分)당 속도의 경우, 처방전 연속 스캐닝의 양이 많을수록 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민간업체 제품의 거의 같은 사양의 기계인 저가형보다 보급형의 속도가 떨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는 것이 업체 측 설명이다. 때문에 처방전 유입이 많은 약국과 그렇지 않은 소규모 동네약국은 처방전 유입량에 따라 실효성을 따져본 후 선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사후처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A/S의 경우 약학정보원의 기계는 소유권 자체가 K팜텍에 있기 때문에 그 개념이 아예 없다. 즉, 소비자인 약국에서 부담하는 실질적 비용이 무료라는 얘기다. 대신 계약 만료 시 기계를 회수해가기 때문에 소유권을 갖고 싶은 약사들은 이를 반드시 감안해야 차후 업체와의 갈등을 피할 수 있다. 약사회의 스캐너 보급이 빠른 시일 내에 진척되고 있는 가운데 기계와 서비스의 향상이 두드러지고 동시에 경쟁 업체가 전면 대두되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