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안먹저 농장/농업 정보

조상의삶과 지혜가 녹아있는 농가월령가중 이월령(二月令)

도깨비 보니조아 2013. 3. 5. 00:47

조상의삶과 지혜가 녹아있는 농가월령가중 이월령(二月令)


이월은 중춘(仲春)이라 경칩(驚蟄) 춘분 절기로다

초뉵일 좀생이는 풍흉(豊兇)을 안다하되 (초엿샛날 좀생이별로 풍흉을 안다하되)

스므날 음청(陰晴)으로 대강을 짐작하리 (스무날 바람신으로인한 날씨를보아 대강을 짐작하리)

반갑다 봄바람이 의구히 문을 여니 (반갑다 봄바람이 변함없이 문을여니)

말낫던 풀 뿌리는 속잎이 맹동(萌動)한다 (말랐던 풀뿌리에서는 속잎이 싹이 튼다)

개고리 우는 곳에 논물이 흐르도다 (개구리 우는곳에 논물이 흐르는구나)

멧 비둘기 소리나니 버들빛 새로와라 (맷비둘기 우는소리나니 버들빛이 새로워라)

보장기 차려놓고 춘경을 하오리라 (보습쟁기 차려놓고 봄갈이 하여보자)

살진밧 갈희어서 춘모를 만니 갈고 (기름진밭 가려서 봄보리 많이 심고)

면화 밧츨 뒤여두고 제 때를 잇지마소 (목화밭 되갈아두고 제때를 잊지마소)

담배모와 잇 시무기 일을스록 조흔니라 (담배모종과 잇꽃(홍화)심기 빠를수록 좋으리라)

원림을 쟝점하니 생니(生利)를 겸하도다 (뒷동산 나무를 다듬어쓰니 이익이 되는구나)

일분(一分)은 과목(果木)이요 이분은 뽕나무라 (첫째는 과일나무요 둘째는 뽕나무라)

뿌리를 상치마소 비오는 날 시무리라 (뿌리를 상하지 않게하소 비오는날 심으리라)

솔가지 찍어다가 울타리 새로 하고 (솔가지 찍어다가 울타리 새로하고)

색단도 슈축하고 개천도 쳐 올니소 (담장도 손을 보고 개천도 쳐 올리소)

안팟긔 싸인 검질 정결리 쓸어내여 (안팎에 쌓인 검불 말끔히 쓸어내어)

불놓아 재 만들면 거름을 보태리라 (불피워 재받으면 거름에 보태리라)

육축(六畜)은 못다하나 우마계견(牛馬鷄犬) 기르리라 (온갖 가축은 못다기르나,소,말,닭,개는기르리라)

씨암탉 두세마리 알을 안겨 깨어보자 (씨암탉 두 세마리 알 안겨 깨어보자)

산채(山菜)는 일너시니 들나물 캐어 먹세 ( 산나물은 아직 때가 이르니 들나물 캐어먹세)

고들빡기 씀박니며 소루쟝니 물쓕이라 (고들뻬기, 씀바귀며 소루쟁이 물쑥이라)

달내 김치 냉니국은 비위를 깨치나니 (달래김치 냉이국은 입맛을 돋우나니)

본초을 상고하야 약재을 캐오리라 (본초강목 참고하여 약재를 캐오리라)

창백출 당귀천궁 시호방풍 산약택사 (창출,백출,당귀,천궁,시호,방풍,산약,택사라)

낫낫치 기록하여 때밋쳐 캐어두소 (낱낱이 적어놓고 때 맞추어 캐어두소)

촌가에 긔구업셔 값진 약 쓰을손야 (시골집에 거리낌없이 값진약 쓰겠느냐)

** 좀생이별: 음력 2월6일 좀생이별 보는날이라하여 별의 빛깔과 달과의 거리를 살펴

좀생이별이 달뒤로 한길쯤 떨어져 따라오면 풍년, 한길쯤 앞서가면 흉년

** 음 청: 농어촌에서 영등신(바람신)을 믿는 풍속으로

영등신은 음력 이월 초하룻날 하늘에서 내려와 스무날쯤 올라가는데

이때 비가오면 풍년, 바람이 불면 흉년..그래서 바람이 사납게 불어

흉년이 들지말고 흡족히 비를내려 풍년이 들게해달라고 영등신에게 제를올리며 기원

지금도 제주도와 동남 해안지방 여러곳에는 영등신과 관련된 의례와 풍속이 전해져오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