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수치
콜레스테롤수치는 우리몸의 조직과 세포에 분포하며 지방의 종류이며
우리몸안에 아주 중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몸안에서 지방질이 존재하며 콜레스테롤은 하나입니다.
다른 지방질과 콜레스테롤은 물에 잘 녹지 않아서 콜레스테롤은 세포와
외부와 차단하는 세포막의 중요 구성성분이 되며,
콜레스테롤은 신경계의 자극전도기능에
좋은 뇌와 신경에 존재합니다.
콜레스테롤은 부신피질 호르몬과 성호르몬 비타민과 담즙산을 만드는 원료가 됩니다.
콜레스테롤은 두가지의 얼굴처럼 나타납니다.
콜레스테롤은 우리몸을 유지하는데 아주 좋은 성분이지만
지나치게 되면 건강에 아주 나쁩니다. 식생활문화와 공해등 운동부족으로
한국인의 사망이 1위에 달하며 질병은 심혈관계입니다.
혈액중에 콜레스테롤 수치가아주 높아지면 동맥경화가 지속되어서 심장성 돌연사,
협심증이 생기고 뇌경색과 뇌졸증,뇌혈관계 질환이 발생합니다.
콜레스테롤수치는 두가지로 만들어집니다.
간에서 몸에 필요한 만큼 만들어지게 되는것이고
우리가 먹는 음식을 통해서도 만들어지는것입니다.
콜레스테롤은 물에 녹지 않아서 운반체와 결합해서 혈액을 통해 운반합니다.
소위 지질단백질이 역할을 합니다.
지질단백질은 몸안에서 나쁜 역할을 하는 저밀도 지 단백질과
좋은 역할을 하는 고밀도 지단백질이 있습니다.
LDL간에서 장기나 혈액으로 콜레스테롤을 전달하고 동맥경화등의 질병을
만들고 HDL은 장기나 혈액을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전달해서
혈관안에 있는 콜레스테롤을 없애줍니다.
간에서 만들어진 콜레스테롤은 지질단백질이라는 작고 둥근 입자형태로
혈액중에 존재합니다.
지질단백질이 잠수함처럼 콜레스테롤을 우리몸에 전달합니다.
지질단백질에는 LDL과 HDL이 있습니다.
HDL은 조직에서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전달하기 때문에 HDL이 많으면
혈관이 콜레스테롤이 제거됩니다.
LDL은 간에서 만들어져서 몸안에 다른 조직으로 콜레스테롤을 전달해주므로
LDL이 많게 되면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많이 쌓여서 동맥경화가 만들어집니다.
혈액중에 콜레스테롤이 80%이상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이 많게되면
혈액중에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것이므로 좋지 않아요.
콜레스테롤 기능
담즙산은 십이지장으로 배설되고 음식물속의 지질이 유화되어서 흡수를 도와줍니다.
호르몬의 전구물질이 되어서 당질대사와 전해질의 조절, 생식기능의 조절등
몸안에서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비타민D는 전구체입니다.
세포의 구조와 세포막의 구성성분이고 막으로 물질을 통과하는 역할을 합니다.
생식기나 부신에서 콜레스테롤은 장기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합성을 쓰이며
간장의 콜레스테롤은 90% 담즙산이 되고, 혈액속에 들어가서 몸안에 전달됩니다.
에스테르형태의 콜레스테롤로서 저비중 지단백속에 들어가서 전달되는데
이 LDL콜레스테롤을 장기의 표면에 있는 LDL수용기라고 하는 수용체와
합해져서 세포속으로 들어갑니다.
반대로 HDL속의 콜레스테롤은 불필요한 콜레스테롤을 간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몸에 아주좋은 콜레스테롤입니다.
콜레스테롤은 음식으로 먹어서 간에서 합성된 콜레스테롤로 이루어져 있어요.
혈액속의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음식을 먹는것은
콜레스테롤의 양을 낮춰주어야 합니다.
식이요법은 저지방식으로 해야 합니다. 콜레스테롤이 많이들어있는
음식은 동물성 식품이 있습니다.
하루에 먹어도 되는 지방의 양은 20%이하이며,
콜레스테롤의 양은 300mg아래입니다.
동물성 기름이 많은 음식은 피하고, 섬유소, 무기질,비타민, 과일과 야채를 많이 먹습니다.
식사는 일주일동안에 두번이상은 고기를 먹지 않습니다.
줄인 기름만큰 열량을 곡류나 과일등을 대체해서 먹을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관리해서 200mg/dl을 낮춰서 관리해야 합니다.
콜레스테롤이 감소하는데 3달 이상 걸립니다.
'정보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랫배 뺴는 방법 (0) | 2009.03.15 |
---|---|
콜레스테롤에 관하여 (0) | 2009.03.13 |
봉삼에 관하여 (1) | 2009.03.05 |
병의원간 진료비 차이 (0) | 2009.03.04 |
혈전에 관하여. (0) | 2009.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