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 공간/영혼의 세계

원진살의 성립관계

도깨비 보니조아 2010. 4. 18. 23:02

원진살의 성립관계 

 

* 원진살의 성립관계 *

 

1.쥐-양 2.소-말 3.호랑이-닭 4.토끼-원숭이 5.용-돼지 6.뱀-개

총 6쌍의 원진이 성립된다.

 

1.쥐와 양-원진이 되니 쥐는 양머리의 뿔 돋친 것을 크게 꺼려하고, 양은 쥐의 꼬리를 보고

             더럽다고   꺼려한다.

                양은 물묻은 풀을 죽어도 먹지 아니하며 특히 쥐오줌이 묻은 풀을 먹으면 즉사한다.

                자수 중(지장간.이하 같음)에 임수가 미토중의 정화가 정임합을 이룬다.

                자중의 계수가 미중의 을목을 수생목해주나, 미토중의 기토는 자중의 계수를 토극수한다.

                한마디로 합의 작용으로 떨어지지도 못하고, 자수 쥐의 입장에서 보면 같이 붙어서 도와

             주니 은혜를 미토 양이 원수로 갚는 격이 되니 자수 쥐는 미토 양이 얼마나 미울 것인가.

 

2.소와 말-소는 말이 밭을 갈지 않는 것을 보고 불평불만하고, 말은 소가 누워서 자는 것을 보고

             시기한다.

                소는 말의 게으름을 미워하며 말은 소의 부지런함을 바보처럼 여깁니다.

                그리하여 예로부터 마굿간과 외양간을 서로 맞바라 보게 지으면 두 동물이 말라 비틀어져

             죽는다.

                 축중의 신금은 오중의 병화와 병신합을 이루나, 축중의 계수는 수극화의 작용으로 서로

              극을 한다.

                 합의 작용으로 축토 오화 소말 서로 떨어지지도 못하면서 둘다 기토가 있으니 축토 오화

              소와 말이 서로 경쟁을 하면서 극을 하는 관계가 된다.

                 축토 소는 오화 말로 부터 화생토를 원하나 오화 말은 싸우려고 드니 이 얼마나 괴로울

              것인가

 

3.호랑이와 닭-호랑이는 별 볼일 없는 닭이 벼슬을 달고 있는 것을 보고 시기하고, 닭은 호랑이가

                    수염을 보고 시기한다.

                       호랑이가 출몰하는 시간이면 닭이 홰치고 올라가고 새벽닭이 울면 호랑이는 자기

                    굴로 돌아가야 한다.

                       호랑이는 흰색을 무척 싫어하는데 닭은 흰색의 동물이니 싫어하며 조상들이 하얀

                    도포자락을 즐겨입는 것도 산길에서환(虎患)을 당하지않기위한 방편이었다.

                       인목 범의 입장에서 보면 인중의 병화와 유금 닭중의 신금과 병신합이되고, 인중의

                    무토가 유중의 경금을 토생금하나, 유중의 경금이 인중의 갑목을 금극목하니, 한마디

                    로 합의 작용으로 떨어지지도 못하고 같이 붙어서 도와주니 유금 닭이 은혜를 원수로

                    갚는 격이 되니 인목 호랑이는 유금 닭이 얼마나 미울 것인가.

 

4.토끼와원숭이-토끼는 원숭이의 빨간 엉덩이를 보기 싫다 여기고. 원숭이는 토끼의 빨간 눈을

                       보고 이상하게도 미워한다.

                           토끼의 눈이 빨갛고 원숭이의 엉덩이가 빨게서 서로 미워한다.

                           지구상에 토끼사는곳에 원숭이 없고 원숭이사는곳에 토끼가 살지않는다.

                           묘중의 을목을 신중의 경과 을경합을 이루나, 신금 원숭이 입장에서 보면 묘중의

                        갑목이 신중의 임수로 부터 수생목을 받아 신중의 무토를 목극토한다.

                           신금 원숭이 입장에서 보면 묘목 토끼가 은혜를 원수로 갚는 것 같이 보이나,

                        묘목 토끼의 입장에서 보면 을경합으로 금을 이루니 나의 세력을 뺏어가는 형국이

                        보인다.

                           그래도 묘중의 갑목이 신중의 무토를 목극토를 할 수 있을 것 같아 만만하게 보이

                        나 세력에서 뒤져 그 것이 힘이드니 더욱 포기를 하기가 힘이 든다.

 

5.용과 돼지-용은 돼지의 시커먼 주둥이를 징그럽다고 미워하고, 돼지는 용의 입에 여의주를 보고

                 미워한다.

                    돼지코와 용코와 닮아서 서로 미워하며 용은 상상의 동물로서 십이지지중 유일하게

                 그 형체가 불분명하고 천상을 배회하니 돼지의 지저분한 생활을 미워한다.

                    진중의 계수는 해중의 무토와 무계합이되고 해중의 갑목을 수생목해준다.

                    해중의 갑목은 진중의 무토를 목극토하지만 해중의 임수는 진중의 을목을 수생목

                 해준다.

                     한마디로 병주고 약주는 격이다.

                     진중의 을목 계수 무토가 있고 해중의 무토 갑목 임수가 있으니 각 목 수토 끼리 비슷

                  한 것 같으면서도 서로가 다르니 같이 앉아 진토 용과 해수 돼지가 서로 포기를 하지 못

                  하게 하니 서로가 괴롭게 되는 것이다.

 

6.뱀과 개-뱀은 개짓는 소리에 놀라 경풍을 일으키고, 개는 뱀이 혀를 놀릴 때 마다 기분을 잡치게

              한다.

                 뱀이 허물을 벗고있는데 개짖는 소리가 들리면 뱀이 즉사한다.

                 여러사람이 산길을 가는데 풀숲에 뱀이있어 일행중 개띠가 있다면 더 멀리 떨어져있어도

              개띠만 골라서 문다..

                 사중의 병화가 술중의 신금과 병신합니 되나, 술중의 정화가 사중의 경금을 화극금한다.

                  둘 다 무토가 있으니 이둘은 서로 경쟁을 하면서 부딪치는 관계로 볼 수가 있다.

                  또 사중에 무토 경금 병화가 있고 술중에 신금 정화 무토가 있어 각 토금화 끼리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서로가 다르니 같이 앉아 진토 용과 해수 돼지가 서로 포기를 하지 못하게

               하니 서로가 괴롭게 되는 것이다.

 

*주의-어것은 어디까지나 오행명리학입니다.

 

너무 상대방과 관계가 안 좋거든 생각해 보시고 멀리에서 보는 것이 상책일 거에요.

 

 

'비밀 공간 > 영혼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합과 운명  (0) 2010.04.27
꿈 해몽 사전  (0) 2010.04.24
십이간지로 성격풀이  (0) 2010.04.18
역학으로 풀어보는 서기 2010년, 경인년의 운세  (0) 2010.04.15
성령의 9가지 열매  (0) 2010.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