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겨자과의 두해살이풀.
냉이를 나생이 ·나숭게라고도 한다. 들이나 밭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높이는 10∼50cm이다. 뿌리잎은 뭉쳐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깃꼴로 갈라지지만 끝부분이 넓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면서 잎자루가 없어지며 바소꼴로 줄기를 반 정도 감싼다.
5∼6월에 흰색 꽃이 피는데 십자화(十字花)가 많이 달려 총상꽃차례[總狀花序]를 이룬다. 꽃받침은 4개로 긴 타원형이고 꽃잎은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이며 6개의 수술 중 4개가 길며,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편평한 거꾸로 된 삼각형 모양이고 2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어린 순 ·잎은 뿌리와 더불어 이른 봄을 장식하는 나물이다. 냉이국은 뿌리도 함께 넣어야 참다운 맛이 난다. 또한 데워서 우려낸 것을 잘게 썰어 나물죽을 끓여 먹기도 한다. 비타민 B1과 C가 풍부하다.
한의학에서는 냉이의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제채(齊寀)라 하여 약재로 쓰는데, 꽃이 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생풀로 쓴다. 말린 것은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약효는 지라(비장)를 실하게 하며, 이뇨, 지혈, 해독 등의 효능이 있어 비위허약 ·당뇨병 ·소변불리 ·토혈 ·코피 ·월경과다 ·산후출혈 ·안질 등에 처방한다. 한국을 비롯하여 세계의 온대 지방에 분포한다.
냉이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겨자과의 두해살이풀
높이 10∼50cm로 들이나 밭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어린 순 ·잎은 뿌리와 더불어
식용하며 한국을 비롯하여 세계의 온대 지방에 분포한다. 출처: N+ Studio
관련이미지 (13)
논 냉이
-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여러해살이풀.
- 학명
Cardamine lyrata
- 계
식물
- 문
속씨식물
- 강
쌍떡잎식물
- 목
양귀비목
- 분포지역
한국(전남·전북·경기·함남)·일본·중국·몽골·헤이룽강
- 서식장소/자생지
논밭 근처의 도랑
- 크기
높이 30∼50cm
논황새냉이라고도 한다. 주로 논밭 근처의 도랑에서 자란다.
높이 30∼5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모가 나며 꽃이 질 때 땅위로 기는 가지를 벋는다.
가지의 잎은 둥글고 홑잎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깃꼴겹잎이고 제일 끝의 작은잎이 가장 크다.
작은잎은 3∼13개이고 둥글거나 타원형이며 톱니가 없고 가장자리는 약간 물결 모양이다.
꽃은 흰색으로 4∼5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약 4mm로 녹색의 긴 타원형이고, 꽃잎은 4개이며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길이 8∼10mm이다. 수술은 6개 중 4개가 길다. 열매는 각과로 길이 1∼2cm의 대가 있으며 길이 2∼3cm, 나비 1mm로 비스듬히 위로 퍼진다. 종자에 날개가 있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한국(전남·전북·경기·함남)·일본·중국·몽골·헤이룽강 등지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