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안먹저 농장/농업 정보

수지참깨 재배 방법

도깨비 보니조아 2012. 11. 23. 13:05

 

대량재배가 아닌 자가 소비용으로 재배시에는 직파하여 솎아 주고 진딧물과 노린재 방제를 적절히 하면 쉽게 재배 가능합니다.

수지깨 재배 방법

1. 재배 환경

① 기온

- 발아 적정 온도 : 17 ~ 25℃(25도가 넘으면 발아율이 떨어짐)

- 발아 최저 온도 : 12℃(±2℃)

- 파종기 적정 지온 : 20℃

② 토양 - 물빠짐이 좋은 참흙, 또는 모래참흙

- 토양산도 : pH 5.0~8.0 (연작지 부적합)

③ 생육 특성

- 습해에 특히 약하며, 생육 초기 입고병(잘록병), 장마기 돌림병(역병), 개화기 시들음병, 생육 후기 잎마름병(엽고병)과 같은 참깨 4대 병해의 발생 우려가 높다.

- 생육기간이 90~120일의 단기성 작물로서 웃자람이 심할 경우 도복의 우려가 높다. - 무한화서로써 자라면서 꽃이 피고, 꼬투리의 성숙이 개화 시기와 부위에 따라 각각 다르다.

2. 재배 기술

① 종자 소독

- 목적 : 발아기 및 생육초기에 많이 발생하는 입고병 피해 예방을 위해 실시한다.

- 방법 : 베노람수화제 250배액(종자 1kg당/베노람수화제 4g)에 2시간 침전 소독한 후 그늘에서 말린다.

② 파종 시기

- 단작 직파 재배의 경우 : 5월 상순~중순이 적기(평균 기온 20℃ 전후시기)

-2모작의 직파 재배의 경우 : 5월 중순 ~ 6월 상순

- 육묘 이식 재배의 경우 : 정식일에서 역산하여 30~40일 전에 포트(트레이)에 파종 (4월 초에 포트에 파종하여 5월 둘째주 정도에 정식하는 것이 최적(육묘 기간 : 40일)

* 육묘 이식재배의 장점

- 꼬투리가 달리는 부위가 낮아 수량이 증대되며 도복에 강하다.

(육묘 이식시 약 15~20cm 부터 착삭, 직파 재배시 40~50cm 부터 착삭)

- 농번기의 노동력 분산 효과

- 솎음 작업이 수월함

③파종방법: 72구트레이에 참깨씨를 3~5개씩 넣는다.

④웃자람 방지 관리

- 솎음 : 적기에 솎음을 해주지 않으면 웃자람으로 줄기가 연약해지고 건전묘 육성이 어려우므로 싹이 올라와 7일 정도 지나 본엽이 2매 정도 될 때 한 구멍에 하나씩만 남기고 솎아준다.

⑤밑거름

- 참깨는 생육기간이 90일 ~ 120일의 단기성 작물이고, 비닐 멀칭을 하므로 거름의 전량을 밑거름으로 함.

- 퇴비 : 100평당 1,000Kg(농협퇴비 50포)

⑥재배 작형

- 비닐 피복 재배 권장(단작 : 투명 비닐, 2모작 : 흑색 비닐)

- 비닐피복 재배의 장점 : 유묘기 지온 상승 및 적습 유지, 습해 및 한발 방지, 입고병 방지 효과,숙기 단축 및 등숙률 향상, 양분 유실 방지 등

⑦ 재식 간격 : 열 간격 * 주간 간격 외줄 심기를 권장합니다. (60cm * 30cm)

⑧병충해방제 : 진딧물과 노린재를 방제(제충국으로 방제)

⑨적심(순자르기)

- 참깨는 다른 작물과 달리 일시에 꽃이 피고 지는 것이 아니고, 하부에 달린 꼬투리가 성숙이 완료되어 꼬투리가 벌어지는데도 상부에서는 계속하여 꽃이 피는 무한화서로써 상부에 늦게 달리는 꼬투리는 종실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지 못해 미숙립으로 끝나게되므로 불필요한 상부의 순을 잘라 결실을 좋게 한다.

※ 적심 시기 : 첫 꽃 개화 후 20일 ~ 25일경 적심을 한다.

개화 시기를 알지 못할 경우 하부에서 부터 마디를 세어 25번째 꽃(마디)에서 순자르기 실시함.

 

'싱안먹저 농장 > 농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돼지감자로 나방류는 걱정 뚝!  (0) 2012.11.29
마늘과 은행으로 꼭지벌레와 맞짱!  (0) 2012.11.29
유기농자료 종합판  (0) 2012.05.26
고추밭 만들기  (0) 2012.04.26
파리, 모기 등 살충제  (0) 2012.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