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안먹저 농장/관심 농작물

오크라에 대하여

도깨비 보니조아 2014. 8. 1. 07:17

오크라 요리

오크라

1. 오크라는 물에 깨끗이 씻어 꼭지 부분을 칼로 잘라냅니다.
2.
팔팔 끓는 물에 오크라를 넣어 새파랗게 데쳐서 찬물에 재빨리
헹구어줍니다.
3.
오크라를 길이대로 반으로 갈라 접시에 에쁘게 담은 후
새콤달콤한 초장을 뿌립니다.
오크라를 데쳐서 냉장고에 보관해 두고 먹을 때 마다 초장만
뿌리면 되지요. 오크라 특유의 맛을 잘 느낄 수 있지요

오크라 볶음
제철에 나는 어떤 야채든지 오크라와 잘 어울리지요. 재료를 볼까요?

오크라, 가지, 고추, 갓끈동부(껍질콩 종류), 양파가 준비 되었네요.

1.
오크라는 깨끗이 씻어 꼭지를 자라내고 길이대로 반으로
가르고 먹기 적당한 크기로 잘라줍니다.

다른 야채들도 오크라와 비슷한 크기로 어슷썰기합니다.

2.
팬에 올리브오일을 조금 두르고 야채를 넣어 볶아줍니다
.
3.
완전히 익었으면 다진마늘, 고추장, 간장, 설탕 조금, 참기름,
깨소금을 섞은 소스를 넣어 다시 한번 살짝 볶아 줍니다.

 

 

오크라 볶음밥

1. 김치, 당근, 양파, 감자를 작게 다져줍니다.
2.
오크라는 가로로 오가형 별모양과 속에 들어 있는
콩이 보이도록 가로로 썰어줍니다.
3.
팬에 버터를 약간 녹인 후 김치와 야채를 먼저
볶다가 오크라를 넣어 볶은 후 소금으로 간을 합니다.
4.
야채가 다 익으면 허브 스윗바질이나 없으면 깻잎을
다져 넣고 밥을 넣어 볶은 후 불을 약하게 하고

뚜껑을 덮어 잠시 뜸을 들입니다.
5.
접시에 예쁘게 담아요.

오크라 샐러드

1. 오크라는 씻어 꼭지를 잘라내고, 끓는 물에 데쳐 찬물에 재빨리 헹굽니다.
2.
오크라는 가로로 별 모양이 나도록 썰고, 복숭아, 방울토마토,
붉은 양파 등을 깍뚝 썰기 합니다.

신선한 허브(스윗바질이나 민트류)는 씻어 적당한 크기로 썰어줍니다.
3.
데친 완두콩이나 통조림 콩을 준비합니다
.
4.
위 재료를 볼에 모두 담고 마요네즈와 소금, 매실액 약간
넣어 버무립니다.
5.
접시에 예쁘게 담아요
.
오크라의 끈적한 점액 때문에 숫가락으로 떠 먹어야 된답니다.

오크라 피클

1. 소독한 병을 준비합니다.
2.
(3), 식초(1), 설탕(1/2), 소금(1/2), 월계수 잎 5장을
넣어 끓여 식혀줍니다.
식초, 설탕, 소금의 비율은 기호에 따라 조정합니다
.
3.
오크라는 물에 씻어 꼭지를 잘라낸 후 물기를 빼 줍니다
.
4.
병에 오크라를 넣고 허브 스피아민트를 넣어 줍니다
.
5.
촛물을 병에 가득 부어줍니다.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 두고
일이주일 후 익으면 냉장고에 보관해 두면

오래 두고 먹을 수 있지요.
6.
오크라를 먹을 만큼 건져내어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접시에 담아냅니다
.
아삭한 오크라 맛을 볼 수 있지요.

 

 

 

오크라는 아욱과의 1년생 열대식물입니다.

우리나라에 소개된지는 얼마 안 되었구요. 주로 필리핀에서 결혼한 분들에 의해 알려졌습니다.

 

오크라는 위의 사진처럼 덜 익었을때 요리에 이용합니다.

 

겉의 솜털은 제거하시고 드셔야 좋습니다.

자르면 점액질이 나오는데 뮤신이며 콜레스테롤을 낮추어주는 효과가 있으며

풋고추처럼 이용할수도 있으며 된장국,피클,짱아찌,조림,볶음,스프 셀러드,튀김 등 다양하게 이용할수 있습니다.

또한 익은것으로 술을 담으면 맛과향이 좋습니다.

 

효능으로는

섬유질이 풍부해 당의 흡수를 지연시켜 당뇨에 좋으며 수분을 흡수하여 대장을 원할하게하고 변비를 예방합니다.

또한 이로운 박테리아의 먹이가 되어 장을 튼튼하게 해줍니다.

점액질인 뮤신이 콜레스테롤을 억제시키고 담즙산의 생산을 도와 간의 독소를 제거하며

소화관에 보호박을 형성해 궤양과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완화시킵니다,

그외 다양한 효능이 있습니다

 

 

 

 

 

 

'싱안먹저 농장 > 관심 농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주군 안성면 소재 천마농장에 다녀왔습니다.   (0) 2014.01.22
황칠나무  (0) 2013.12.24
잎깻잎 재배하기.  (0) 2013.05.03
냉이  (0) 2013.04.05
한지형 마늘과 난지형 마늘이란?  (0) 2012.12.26